조나단 에드워즈 생애와 사상

이찬****
2014-07-05
교회사 최고의 지성과 영성을 소유했던 것으로 평가받는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마틴 로이드 존스의 그를 향한 극찬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최고의 책으로 꼽히는 「신앙 감정론」과「부흥론」을 사서 읽으려고 했으나 그보다는 먼저 그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서 배경 지식을 먼저 쌓는 게 낫다는 판단 하에 양낙홍 교수님께서 쓰신 이 책을 구입하게 됐다. 이것과 비슷한 책으로, 유명한 전기 작가 이안 머리가 쓴 「조나 에드워즈 삶과 신앙」도 내 위시리스트에 올라왔으나 목차를 보니 양낙홍 교수님께서 쓰신 책이 더 마음에 들었다. 그 이유는 이 책에 「신앙감정론」과 「부흥론」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물론 이안 머리의 책에도 그 내용이 등장한다)​ 한편 내가 이 책을 구입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내 신앙에, 특히 기도에 불을 지피기 위해서다. “세상에서 참 신앙과 윤리를 북돋우어 주는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교리와 개념에 의해서고 다른 하나는 사례와 모범에 의해서다.”라고 조나단 에드워즈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생애와 일기」 서문에서 밝혔고 실제로 나 또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생애와 일기」를 통해서 많은 도전과 감동을 받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입문서로 이 책을 추천하는 세 가지 이유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신앙 감정론」과 「부흥론」의 주요 내용들과 함께 역자의 친절한 설명도 곁들였다는 점이다. 둘째​, 저자가 고신대 신대원 교수의 입장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사상을 균형있게 평가함과 동시에 이것을 통해 한국 교회가 깊이 고민해 봐야 할 문제의식을 제기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국내 전도 집회에서 여전히 이뤄지고 있는 알미니안식 ‘제단으로의 부르심’의 적절성 여부와 ‘하나님의 심판과 죄에 대한 철저한 깨달음’을 부르짖는 설교가 부재하는 한국 교회의 문제점 말이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책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신앙 감정론」이나 「부흥론」을 먼저 읽어보시기 전에 이 책을 통해서 그의 사상적 배경과 생애에 대한 배경지식을 먼저 갖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